전정신경염은 귀에서 뇌로 평형감각을 전달하는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겨서 심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 전정신경염의 원인
- 아직까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합니다.
-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기거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전정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전정신경염의 증상
- 갑자기 주변이 계속 빙빙 돌아가거나 물체가 흔들리는 듯한 심한 어지럼증
- 메스꺼움과 구토
- 균형 문제
- 집중이 어려움
- 오한과 권태감과 같은 가벼운 감기 증상
어지럼증은 주로 수 일에서 수 주 동안 지속되고, 간혹 완전히 없어지는데 몇 달이 걸리기도 합니다.
머리를 움직일 때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전정신경염만 발생한 경우에는 청력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전정신경염 치료방법
- 급성기에는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진정제, 항구토제,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을 복용합니다.
- 전정신경염의 원인이 바이러스 감염일 경우 항바이러스제와 스테로이드 치료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 회복기에는 안정을 취하는 것보다는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은 몸의 평형 기능의 적응과 회복을 촉진하여 어지럼증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전문가의 지도하에 전정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 필요 이상으로 진정제 계통의 약물을 오래 투여하면 오히려 어지럼증이 더 오래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전정신경염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며, 재발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1) | 2023.09.15 |
---|---|
전정재활운동의 필요성과 효과, 어지럼증 극복하는 방법 (1) | 2023.09.14 |
어지러움증 종류 현훈, 균형장애, 실신성어지러움, 심인성어지러움 특징 알아보기 (1) | 2023.09.13 |
눈 다래끼 원인과 증상 치료법 및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3.09.11 |
잇몸 질환 원인 및 증상 예방에서 치료 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