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성홍열 원인, 증상, 그리고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자

by 기억을 남기다 2023. 7. 17.

성홍열 정의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목의 통증, 고열, 전신 발진이 생기는 전염병입니다.

발진이 생긴 피부의 붉은색이 원숭이의 일종인 오랑우탄(성성이)의 색과 유사하다고 하여 성홍열이라 이름하였습니다.

성홍열의 영문명인 'scarlet fever'도 피부색의 변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성홍열 원인, 증상, 그리고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자
성홍열

◆ 원인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병입니다. 연쇄상구균은 호흡기 분비물이나 비말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가끔 식품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성홍열은 보통 사람 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많은 군대, 어린이 보호시설, 학교 등에서 유행 발병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성홍열은 세균에 노출된 뒤 2~7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시작됩니다. 오한과 함께 39℃ 전후의 열이 생깁니다. 처음에는 식욕 부진과 구토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편도선이나 목이 빨갛게 부어올라 통증이 심합니다.

 

1~2일 후면 홍역보다 작은 좁쌀 크기의 발진이 입 주위를 제외한 전신에 나타나, 입 주위는 창백하며 얼굴은 홍조를 띠게 됩니다.

 

입 주위에만 발진이 나타나지 않아서 얼굴이 희게 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얼굴이나 목에서 시작하여 팔, 몸통 및 다리에 퍼지는 붉은 발진
  • 무릎, 사타구니, 겨드랑이 및 팔꿈치 주위의 빨간색 선
  • 플러시 된 얼굴
  • 딸기혀(붉은 반점이 있는 흰 혀)
  • 오한이 있는 고열
  • 아프고 붉은 목구멍
  • 삼키는 데 어려움
  • 촉감이 부드러운 목(림프절)의 확대된 땀샘
  • 메스꺼움 또는 구토
  • 두통

 

◆ 진단

성홍열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 및 병력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편도 및 인두 배양 검사 혹은 항원 검출법을 통해 원인균을 확진할 수 있습니다. 발열과 피부 발진 증상이 나타나는 풍진, 홍역, 가와사키병, 약물 발진 등과 감별해야 합니다.

 

 

◆ 치료

페니실린을 가장 추천하지만, 투여 편의성을 위하여 경구용 아목시실린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페니실린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에리스로마이신과 같은 다른 항생제를 사용하여 약 10일간 충분히 치료합니다. 치료 시 침상 안정 환경을 제공하고 적당한 수분을 공급합니다.

 

성홍렬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합병증에는 류마티스 발열, 신장 질환, 귀 감염, 피부 감염, 목 농양, 폐렴, 관절염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성홍렬이 의심되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경과

  • 성홍렬은 감염 후 1주 이내에 화농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이염, 경부림프절염, 부비동염, 폐렴 등이 있습니다.
  • 성홍렬은 감염 후 2~3주 후에 비화농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급성 사구체 신염, 류마티스열 등이 있습니다.
  • 성홍렬은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로 치료하면 증상이 2~3일 내에 호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 기간 동안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 성홍렬은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하거나 보균자가 될 수 있으므로, 정해진 기간 동안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 성홍렬은 특징적인 발진과 딸기혀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편도 및 인두 배양 검사 혹은 항원 검출법을 통해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성홍열 원인, 증상, 그리고 합병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