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이란?
신체의 한 부분에 극심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만성 통증 질환입니다. 외상, 감염, 수술 등의 유해한 사건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 부위의 부종, 피부 혈관의 변화, 비정상적인 땀 분비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 진단
복합부위통증 증후군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동반하는 만성 통증 질환입니다. 이 질환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여러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 의사의 평가:
- 의사는 통증의 정도와 발생 시기, 감각 이상, 근육의 상태 등을 상세하게 살펴봅니다.
- 또한 통증 부위의 피부 외형, 온도, 부기, 땀 흘림, 운동 범위 등을 확인합니다.
- X-ray와 골 스캔:
- 이 검사들은 뼈의 이상과 골감소 정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근전도 검사와 신경전도 검사:
- 이 검사들은 신경 및 근육의 이상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기타 검사:
- 자율신경 검사, MRI, 체열 검사 등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검사들은 통증 부위의 혈관운동 이상이나 염증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원인
- 외상, 감염, 수술 등의 유해한 사건 후에 신체의 한 부분에 신경 손상이 생기는 경우
- 신경계의 비정상적인 염증 또는 기능 장애로 인해 통증 신호가 과도하게 증폭되는 경우
- 교감신경계가 과활성화되어 통증 부위의 혈관운동 이상이나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은 신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사지 중 한 곳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상지 부분이 하지보다 2배 정도 많이 이환됩니다.
▣ 증상
- 통증:
- 통증은 주요 증상이며, 손상 정도보다 훨씬 심하고 지속적입니다.
- 통증은 작열감, 저림, 쑤시는 느낌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온도 변화나 감정적 스트레스에 따라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통증 부위는 접촉에 매우 민감해지며, 일반적인 피부 접촉도 고통스럽게 느낄 수 있습니다.
- 부종:
- 통증 부위가 부을 수 있으며, 부종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 부종은 근육 위축이나 관절 강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피부 변화:
- 통증 부위의 피부는 붉거나, 얼룩덜룩하거나, 창백하거나, 윤이 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피부 온도가 높거나 낮아질 수 있으며, 땀 흘림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 피부 질감이 딱딱하거나 얇아질 수 있으며, 탈모나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손발톱이 깨지거나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 근육 및 관절 변화:
- 통증 부위의 근육이 약해지거나 위축될 수 있으며, 운동 범위가 감소하거나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강직될 수 있으며, 손가락이나 발이 비정상적인 자세로 뒤틀려서 고착될 수 있습니다.
- 근육 경련이나 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뼈 변화:
- 통증 부위의 뼈 밀도가 낮아지거나 골다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는 X-레이나 뼈 스캔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변화:
-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 있으며, 우울증, 불안감, 분노감 등의 정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진행 속도와 정도도 다를 수 있습니다. 일찍 진단하고 치료를 받으면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의 치료 방법
- 약물 치료로는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약물들은 통증을 완화하고 신경계의 이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 신경 차단 요법으로는
- 교감신경 차단, 경막외신경 차단, 말초부위 신경 차단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시술들은 통증 부위의 신경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통증 신호를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물리치료나 작업 치료도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치료들은 통증 부위의 관절 가동 범위와 근력을 증가시키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심리 치료도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심리 치료는 통증으로 인한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태도와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복합부위통증 증후군,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결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과 치료 (1) | 2023.11.14 |
---|---|
각막 찰과상이란?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법 알아보자 (4) | 2023.11.13 |
틱장애 어떻게 대처할까? 원인과 증상, 치료법 알아보자 (0) | 2023.11.11 |
비중격만곡증, 코막힘의 원인과 해결책은? (0) | 2023.11.10 |
신부전증, 이렇게 하면 예방할 수 있다.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