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소변 냄새로 살펴보는 내 몸의 건강 상태 그 비밀을 알아보자

by 기억을 남기다 2023. 9. 30.

소변의 색깔과 냄새로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변은 인체 내에서 여러 물질이 대사 된 후 이들을 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결과물이기 때문에 소변의 성분과 특성은 우리 몸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소변 냄새로 살펴보는 내 몸의 건강 상태 그 비밀을 알아보자

 

소변의 색깔은 소변의 농축 정도와 성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소변은 연한 노란색이나 황갈색이며 약간의 냄새가 납니다. 하지만 수분이 부족하거나 탈수현상이 있는 경우 소변은 짙은 노란색을 띠고, 간염이나 당뇨병 등의 질환에 걸린 경우 소변의 색깔이나 냄새가 변할 수 있습니다. 소변의 색깔과 냄새가 정상과 다르다면 건강상태를 점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소변의 색깔과 냄새로 알 수 있는 건강 상태

 

  • 투명한 색:
    • 수분을 과다 섭취한 경우, 나트륨이 부족한 경우, 단백질이 부족한 경우 등
  • 짙은 노란색:
    • 수분이 부족한 경우, 탈수현상이 있는 경우 등
  • 주황색:
    • 비타민 B2 과다 섭취, 간질환, 담석 등
  • 분홍색 혹은 빨간색:
    • 신장 질환, 방광염, 방광암, 신장암, 요로 결석, 전립선 문제, 월경, 블루베리나 비트 등을 과다 섭취한 경우 등
  • 연한 갈색:
    • 간질환, 신장 질환, 근육 파괴 등
  • 짙은 갈색:
    • 급성신장염, 혈액 장애 등
  • 녹색 혹은 푸른색:
    • 유전적인 질환, 특정 박테리아 감염, 의약품 반응 등
  • 거품이 있는 노란색:
    • 단백뇨, 신장 기능 이상 등
  • 달콤한 냄새:
    • 당뇨병, 대사 장애 등
  • 악취가 심한 냄새:
    • 방광염, 요로 감염 등

소변의 색깔과 냄새가 정상과 다르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소변을 통해 건강 상태를 알아보는 것은 간단하고 편리하지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신의 건강에 대해 확실하게 알고 싶다면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소변에 거품이 많이 생기는 이유

 

소변은 인체 내에서 여러 물질이 대사 된 후 이들을 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결과물이기 때문에 소변의 성분과 특성은 우리 몸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소변의 거품은 소변이 떨어지면서 물과 마찰을 일으키고 이때 소변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금방 사라지곤 합니다. 하지만 소변에 이물질이 있거나 당이나 단백질이 과도하게 포함된 경우는 거품이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소변에 거품이 많고 몸이 붓는 증상을 동반한다면 신장 질환에 의한 ‘단백뇨’ 일 수 있습니다. 단백뇨란 말 그대로 혈액 내 단백질이 소변에 다량 섞여 나온 것으로, 단백뇨가 아닌 다른 이유로도 거품이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 소변에 단백이 많을 때 거품이 많이 발생합니다.

 

20세 이상의 나이 기준 하루 500mg 이상의 단백이 배설되면 단백뇨로 볼 수 있습니다.

단백뇨는 콩팥 질환이나 전신 질환을 알리는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신증후군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신장 종양 ▲유전성 신염 ▲당뇨병 신장 합병증 ▲고혈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와 같은 약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성 단백뇨의 경우 건강한 사람에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 특히 운동을 과도하게 하거나 오래 서 있을 경우,
  • 고열 증상이 있을 경우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 단순성 단백뇨는 원인이 제거되면 대부분 증상이 사라집니다.

질환으로 인해 단백뇨가 나올 경우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것 외에도 몸이 붓고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거품만으로는 정확한 원인 질환을 진단할 수 없으므로, 병원을 방문해 소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만성 신질환일 경우 단백뇨가 심할수록 만성신부전증으로 진행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진단·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이 조절과 약물 치료로 만성신부전증 진행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으며, 다량의 단백뇨와 함께 다리·전신·폐부종이 발생했다면 약물 치료와 동시에 저염식, 저단백식으로 식단을 바꿔야 합니다.

 

이상으로 소변 냄새로 살펴보는 내 몸의 건강 상태 그 비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