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이란?
소화기관의 일부분이나 전체에 염증이 생기는 만성 질환입니다. 크론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감염, 면역 반응, 환경적 요인 등이 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크론병은 주로 15세에서 35세 사이의 젊은 세대에 많이 발생하며, 흡연은 크론병의 위험 요인입니다.
▣ 크론병의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소화관 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장내 세균에 대한 신체의 과도한 면역반응이 크론병의 발병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 가족 내에 크론병 환자가 여러 명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홍역바이러스 감염, 흡연, 스트레스 등도 크론병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 크론병의 증상
크론병의 증사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염증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 복통 및 경련:
- 주로 하복부에 나타나며, 간헐적으로 산통과 유사합니다.
- 설사:
- 약 85%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혈액, 점액 또는 고름이 섞일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 식욕 부진, 영양소 흡수 장애, 염증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발열:
- 염증이 심할 때나 감염이 있을 때 나타납니다.
- 항문 질환:
- 항문 주위에 균열, 농양, 누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구강 염증:
- 입안에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피부 발진:
-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종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관절 통증:
- 관절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의 증상은 재발과 회복을 반복하며, 재발의 기간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 크론병의 치료법
크론병은 완치가 어렵지만 증상을 완화하고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있습니다.
- 항염증제:
- 장의 염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약물로, 설파살라진, 메살라민 등이 있습니다.
- 부작용으로 두통, 오심,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
-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하는 약물로, 하이드로 코티손, 덱사메타손 등이 있습니다.
- 장기간 사용하면 체중 증가, 골다공증,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면역 억제제:
- 면역 반응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는 약물로,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등이 있습니다.
- 부작용으로 감염에 취약해지거나 빈혈, 탈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생물학적 요법:
- 인체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을 모방하거나 중화하는 약물로,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맙 등이 있습니다.
- 부작용으로 감염,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 농양, 누공, 협착 등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로, 메트로니다졸, 시프로플록사신 등이 있습니다.
- 부작용으로 구역질, 두통,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영양 보충:
- 영양소 흡수 장애나 체중 감소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정맥 주사나 구강 섭취를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합니다.
- 외과적 치료:
-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심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염증이 있는 장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문합술, 협착 성형술 등을 시행합니다.
크론병의 치료법은 환자의 증상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크론병이란 무엇인가?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속 염증을 낮춰보자, 염증에 좋은 식품과 생활 습관 (1) | 2023.10.21 |
---|---|
부신비대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 (0) | 2023.10.19 |
중이염 원인 및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예방법은? (1) | 2023.10.17 |
족저근막염, 발바닥 통증의 원인과 해결책은? (1) | 2023.10.17 |
기침이 멈추지 않는다면? 상기도기침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및 예방 (0)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