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이란?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발생되는 흔한 질환입니다. 자궁내막증은 월경을 하는 여성, 즉 초경에서부터 폐경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생길 수 있는 질병입니다.
◈ 증상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월경통과 하복부 통증, 불임 등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주로 복강 내 장기나 복막에 발생하며 장이나 폐 등 자궁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인체 내 다른 장기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월경통:
- 자궁내막증은 월경 전후로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통증은 월경 시작 전부터 끝날 때까지 지속되거나, 월경 중에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통증의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골반통:
- 자궁내막증은 골반 내에 염증을 일으켜 골반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골반통은 월경과 관련되어 있거나, 관련되지 않고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골반통은 성관계, 배변, 운동 등에 따라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불규칙한 출혈:
- 자궁내막증은 월경 사이에 출혈이 발생하거나, 월경량이 많아지거나, 월경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불규칙한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불규칙한 출혈은 철분결핍성 빈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피로감, 어지러움, 창백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불임:
- 자궁내막증은 임신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자궁내막증은 난소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난소에서 발생하는 자궁내막종 (endometrioma)이 난소 저 반응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자궁내막증은 나팔관의 염증과 유착을 일으켜 정자와 난자의 만남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의 이상과 자궁수축력의 감소를 일으켜 난자의 착상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의 심각도가 병변의 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즉, 병변이 심한 경우에도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 있고, 반대로 병변이 경미한 경우에도 증상이 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있다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원인
자궁내막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역류설 (retrograde menstruation)로, 월경 시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경부를 통해 역류하여 복강 내에 붙어서 자라는 것입니다.
또한 면역계의 이상, 호르몬의 불균형,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도 자궁내막증의 원인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 진단
자궁내막증의 진단은 증상, 진찰 소견, 영상 검사 등을 토대로 임상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확진을 위해서는 복강경 검사가 필요합니다.
복강경 검사는 복벽에 작게 뚫고 카메라가 달린 관을 넣어 복강 내를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자궁내막증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4단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기는 최소한도의 자궁내막증, 2기는 경도의 자궁내막증, 3기는 중등도의 자궁내막증, 4기는 심한 정도의 자궁내막증입니다.
◈ 치료
자궁내막증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나이, 증상,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가 있습니다.
◇ 약물 치료
- 호르몬 요법을 통해 월경을 억제하거나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병변을 축소시키는 것입니다.
- 경구피임약 (OC), 프로게스토겐 제제 (비잔 등), 고나도트로핀 방출호르몬 유사체 (GnRH-a) 등이 사용됩니다.
◇ 수술 치료
- 복강경 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증 병변을 절제하거나 제거하는 것입니다.
- 수술 치료는 증상이 심하거나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임신을 원하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 자궁내막증은 재발률이 높은 질환으로, 수술 후에도 장기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자궁내막증은 완치가 어려운 만큼, 예방을 위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흡연, 스트레스, 과체중 등은 자궁내막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금연, 운동, 휴식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자궁내막증, 무시하지 말고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기폐란 무엇인가? 원인과 증상부터 치료까지 이해하기 (0) | 2023.11.04 |
---|---|
뇌동맥류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1) | 2023.11.02 |
충수염이란 무엇일까?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방 방법 (0) | 2023.10.31 |
좌골신경통의 모든 것!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예방을 한눈에 (3) | 2023.10.30 |
고막파열의 원인과 증상,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까?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