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려움증은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감정을 일으키는 불편한 감각을 말하며, 다양한 피부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가려움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생활습관 조금만 관리하면 가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예방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가려움증 정의
2. 가려움증 원인
3. 가려움증 증상
4.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
1. 가려움증 정의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감정을 일으키는 불쾌한 감각입니다. 가려움증은 피부질환, 전신질환, 정신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을 찾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가려움증 원인
가려움증의 원인은 피부 건조, 피부염, 감염, 알레르기, 전신질환, 심리적 요인 등으로 피부를 손상시키거나 수면장애, 우울감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피부 질환:
- 피부염, 습진, 건선, 두드러기, 벌레 물림 등 피부에 발진이 생기는 질환은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전신 질환:
-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콩팥병, 빈혈, 간 질환, 혈액암 등 내장이나 혈액에 이상이 있는 질환은 피부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도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신경계 장애:
- 신경이 압박되거나 손상되면 신경이 과민해져 가려움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대상포진, 신경통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심리적 장애:
- 스트레스, 불안, 우울, 강박증 등 심리적인 문제가 있으면 가려움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가려움증은 피부에 물리적인 원인이 없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 약물, 의약품, 화학물질:
- 약물이나 의약품을 복용하거나 화학물질에 노출되면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으로 인해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아스피린, 페니실린, 모르핀, 코데인, 살리실산, 화장품, 세제, 염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3. 가려움증의 다양한 증상
- 피부가 건조하고 각질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피부가 거칠고 갈라지며 가렵습니다.
- 이런 경우는 건성습진이나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피부에 발진이나 물집이 생기는 경우에는 피부가 붉고 부어오르며 가렵습니다.
- 피부염, 습진, 건선,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피부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전신에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콩팥병, 간질환, 암, 빈혈, 신경계 장애, 심리적 장애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4.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
가려움증의 예방이나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피부질환, 전신질환, 심리적 장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원인을 찾아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가려움증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피부과나 내과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에는 피부 생검, 혈액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이 있습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피부염, 감염, 알레르기, 간 질환, 당뇨병, 암 등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 가려움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
- 피부를 건조하게 하지 않고, 보습제를 충분히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 건조한 피부는 가려움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자극적인 비누나 세제, 꽉 끼는 옷, 양모 등을 피하고, 부드러운 천으로 만든 헐렁한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물질이나 옷은 가려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가려운 부위를 긁지 않고, 거즈나 반창고로 가리는 것이 좋습니다.
- 가려운 부위를 긁으면 피부에 자극이 남아 가려움이 더 오래갑니다.
- 차가운 물이나 아이스팩을 가려운 부위에 대거나, 시원한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차가운 온도는 가려움을 일으키는 신경에 영향을 주고 가려운 감각을 느리게 만듭니다.
- 가려움 완화 연고나 크림을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 멘톨, 페놀, 디펜히드라민, 벤조카인, 장뇌, 프라목신 등의 성분이 들어간 연고나 크림은 가려움을 일으키는 신경을 마비시키고 가려움을 완화시킵니다.
-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라는 화학물질의 작용을 막아 가려움을 줄여줍니다.
- 알레르기 반응이나 넓은 부위에 가려움이 있을 때 효과적입니다.
-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은 가려움을 경험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운동, 호흡법, 명상, 취미활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가려움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 및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톱무좀에 걸리지 않으려면? 예방 및 치료방법 (5) | 2023.12.17 |
---|---|
담낭염, 이런 증상이 있으면 조심하세요 (1) | 2023.12.14 |
골반장지탈출증의 원인과 증상, 최신 수술 방법이 있다 (18) | 2023.12.12 |
하지정맥류, 방치하면 큰일 납니다. 원인과 치료법은? (4) | 2023.12.11 |
만성췌장염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법은? (42) | 2023.12.09 |